▷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903.34억원(전년동기대비 +54.21%), 영업이익 2,441.86억원(전년동기대비 +330.41%), 순이익 1,682.83억원(전년동기대비 +109.94%).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매출이 전분기대비 54% 증가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밝힘. 지역별 매출은 한국 5,034억원, 아시아 2,107억원, 북미·유럽 374억원을 기록했으며, 로열티 매출은 38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힘. 또한, 해외 및 로열티는 전체 매출의 36%를 차지해 전년동기대비 200% 증가했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하반기 중 PC·콘솔 신작 'TL'의 글로벌 출시, 리니지W의 북미·유럽 등 서구권 출시, 블레이드 & 소울 2의 일본·대만 등 아시아 지역 출시를 준비 중에 있으며, TL은 오는 여름 쇼케이스를 열고 상세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힘.
▷동사는 언론을 통해 17일부터 개최되는 국내 최대 2차전지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2에 참가해 전기차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핵심소재인 단입자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힘. 이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고 안정성을 높이는 혁신 기술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여러 원료를 하나의 입자구조로 합쳐 강도와 열 안정성을 높인 소재이며, 니켈 함량을 극대화한 N96 하이니켈 제품도 함께 전시할 예정. ▷또한, 기존 액체 전해액보다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용 소재와 음극재 포트폴리오도 공개할 것으로 알려짐.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에 따른 음극재 실적 부진이 우려되지만, 배터리금속 가격 상승에 따른 양극재 판매가격 상승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어 실적 고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다만, 금리인상 전망에 따른 밸류에이션 하락 및 배터리금속 가격 금등에 따른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 -> 150,000원[하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美 파트너사, 2분기 내 면역항암제 美 임상1상 IND 신청 계획 속 아시아 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 확보 사실 부각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美 파트너사인 큐바이오파마는 2분기 'CUE-102(면역항암제, 과제명 LR19129)'에 대한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앞서 큐바이오파마는 최근 완료된 CUE-102 전임상을 통해 윌름스 종양 유전자 'WT-1' 항원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T세포(면역 세포) 증식과 활성화를 확인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CUE-102는 연내 임상 1상 진입이 예상된다"며 "WT-1 종양이 발현된 고형암과 혈액암 적응증으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CUE-102에 대한 아시아 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갖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재 개발 중인 신작 ‘TL’(Throne and Liberty)과 ‘프로젝트E’의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했다고 밝힘. TL과 프로젝트E는 세계관을 서로 공유하는 새로운 오리지널 지적재산(IP)이며, 하나의 세계관안에서 서로 다른 역사가 펼쳐지는 두 대륙의 이야기를 담았음. 특히, TL은 콘솔, PC 타이틀로 개발 중이며, 올 하반기 글로벌 시장 출시를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새로 건립한 미국 제2공장이 내달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힘. 미국 제2공장은 연간 3억500만개의 라면 생산 능력을 갖췄으며, 이로써 동사는 미국에서 연간 총 8억5,000만 개의 라면을 만들 수 있게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는 미국 뿐만 아니라 멕시코 시장에 새로 진출하는 등 북중미 시장에서 오는 2025년까지 지난해 3억9.500만 달러 대비 2배 성장한 8억 달러의 매출을 이룬다는 목표도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국내 생산 물량까지 미국시장에 공급할 만큼 기존 공장의 생산능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며 "제2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감으로써 공급 확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DW2008S' 임상시험 2상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의 2021년 5차 신규과제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정부과제 선정으로 동사는 위약 대비 DW2008S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임상 2상진행을 지원받게 될 예정.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치료제 개발에 더욱 매진하겠다"라며 "제5차 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을 기회로 삼아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4,137억원(전년동기대비 +15.9%)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1분기 매출액은 2.53조원(전년동기대비 +10.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실적 호조세 전망은 유효하며 공급망 차질은 주요 부품업체에게 의존도 확대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 이에 동사의 반도체 기판, MLCC 등 주요 사업 수익성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 올해 영업이익은 1.61조원(전년대비 +8%)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 ▷MLCC는 IT 기기향 초소형고용량 영역에서 동사의 점유율 확대 및 믹스 효과의 가중으로 영업이익률이 과거대비 안정권에 있으며, 반도체 기판은 FC BGA의 공급 부족 지속과 PC영역에서의 점유율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고부가 제품인 SiP, AiP 매출이 증가해 전반적인 믹스효과가 올해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60억원(YoY +9.5%), 영업이익은 302억원(YoY +6.3%)으로 영업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는 국내 수액제 매출회복, 영양수액제 중심의 수요 증가, 수액제 수출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으로 분석. 특히, 수액제 매출은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6~7% 이상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당진공장에 TPN 생산 3 Line이 곧 준공되고, 하반기부터 가동될 예정으로 이로 인해 TPN 생산 CAPA가 70%내외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1년까지 영업실적 조정이 마무리 됐으며, 2022년 2월말부로 자회사 JW바이오사이언스의 재고평가 이슈가 정리되고 관리종목에서도 벗어나게 되었다고 설명.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연결 매출액은 6,068억원(+13% yoy, +1% qoq), 영업이익은 457억원(+42% yoy, +142% qoq)으로 종전 당사 추정 영업이익 375억원, 컨센서스 영업이익 389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음료 매출액 호조 및 가정용 소주 판매 호조 지속, 맥주 유흥시장 회복 영향, 와인, 청주, 위스키 등 기타 주류 포트폴리오 다각화 효과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주세법 개정에 수입맥주 시장 침체가 더해지며 2022년 이후로도 수제맥주 시장 확대는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동사의 올해 수제맥주 OEM 매출액 추정치를 종전 530억원에서 630억원으로 19%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230,000원[상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09억원(전년동기대비 +29%), 영업이익 206억원(전년동기대비 +43%)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중국, 미주, 인니 지역으로의 수출 호조로 달러 기준 수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2%, 원화 기준 수출 매출액은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는 지난해 설립된 중국, 미국 판매 법인의 영업 활동이 연초부터 본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소맥, 팜유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발생했지만, 원화 약세 기조로 달러화 결제가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사업부문에서의 환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상되어 원가 상승 부담을 수출호조와 환효과가 상쇄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9억원 이하 수도권 소재 아파트을 담보로 최대 6억3,000만원을 대출해주는 주담대 상품을 출시한다고 밝힘. 해당 상품의 대출 가능 최대 금액은 6억3,000만원, 대출 금리는 최저 2.989%로, 서울ㆍ경기ㆍ인천 소재 아파트에 대해 1개월 이상 근로 소득자나 소득 증빙이 가능한 사업 소득자면 대출 신청이 가능하며, 소유(예정) 주택은 부부 공동 명의도 가능할 예정. ▷송호근 주택담보대출 스튜디오 팀장은 기자간담회에서 "고객의 금융비용 절감을 위해 은행권 최초로 중도상환수수료를 완전 면제키로 했고, 주담대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정책이 확산됐으면 하는 생각도 담겨있다"며, "다만 주담대를 신청하고 단기간에 취소하는 고객이 많을 경우 은행은 매몰비용 측면서 역마진 우려가 있어 중도상환수수료 면제를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앙처리장치(CPU)처럼 연산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PIM(Processing-In-Memory)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동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이달 20일부터 열리는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인 ‘2022 ISSCC’(국제 고체 회로 학술회의)에서 PIM 개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안현 동사 솔루션개발담당 부사장은 “자체 연산 기능을 갖춘 PIM 기반 GDDR6-AiM을 활용해 새로운 메모리 솔루션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다”라며, “앞으로 사업모델과 기술 개발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진화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힘. ▷한편, 우크라이나 긴장 완화 속 전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5% 넘게 폭등한 가운데, 반도체 관련주들이 강세 흐름을 보인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30조원(전년대비 -4.44%), 영업이익 3,752.13억원(전년대비 -54.50%), 순이익 3,957.34억원(전년대비 -32.53%).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571.62억원(전년동기대비 +34.88%), 영업이익 1,094.61억원(전년동기대비 -30.15%), 순이익 1,217.42억원(전년동기대비 +51.68%).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리니지W 일매출은 약 62억원으로 선전하였으나, 기존 리니지M과 리니지2M 일매출이 10억 이하로 크게 하락하고, 리니지, 아이온 등 PC 게임들도 매출이 QoQ 10% 이상 감소하며 전체 매출은 컨센서스를 8.1% 하회했다고 설명. 여기에 예상을 넘어서는 약 900억원의 특별 상여금 지급과 마케팅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QoQ 13.7% 증가한 1,095억원에 그쳐 컨센서스를 54%를 하회했다고 밝힘. 또한, 리니지W 제2권역 출시가 올해 2분기에서 3분기로 다소 연기되었으며, 아이온2도 23년 이후로 출시 지연되고 있고 마케팅과 인건비는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올해 이익 성장 눈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0원 -> 600,000원[하향] ▷아울러 KB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여타 증권사들도 동사 목표주가를 줄하향했음.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 1,224억원(+66%, 이하 YoY), 영업이익 188억원(+997%)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및 당사 추정치(193억원, 185억원)에 부합했다고 분석. 삼성전자 P2향 일부 잔여 물량과 SK하이닉스 M16향 공급이 주로 진행됐으며, 1H21 대비 고객사의 투자 공백 구간이었으나, 중화권 및 해외 비메모리 고객사향 공급이 꾸준하게 이어지면서 호실적이 가능했다고 설명. ▷아울러 올해 매출액 4,760억원(+7%), 영업이익 1,140억원(+1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국내 투자는 하반기로 갈수록 확대될 예정이며, 분기별로 상저하고의 실적흐름이 예상되고, 고객사 다변화와 매출처 및 신규장비 다각화는 연중 내내 지속될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지난해 호실적 및 올해 1월 기준 채용지표 월간 최고치 경신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AI매칭의 고도화로 인한 합격자수와 IT 직군의 높은 연봉상승률에 따른 채용 수수료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가운데, 올해 1월 기준 모든 채용지표는 월간 최고치를 경신중이며 2분기를 기점으로 영업외손익 이슈는 모두 해소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높은 연봉상승률 전망과 직군 다변화에 따른 지속적 실적 확대가 기대되며, 동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에 대한 인수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고 설명.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한화시스템(272210)(+2.36%)]
항공기 첨단 방어 시스템 ‘DIRCM’ 국산화 성공 및 UAE 천궁수출 최종 계약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관한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DIRCM) 운용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해 언제든 전력화가 가능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광열 동사 감시정찰사업본부장은 “DIRCM의 성공적인 국산화를 통해 해외에 의존해온 한계를 극복하고 자주국방 실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향후 우리 군이 운용 중인 다양한 항공기에 적용함으로써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나가며 글로벌 방산 시장까지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천궁-II(M-SAM 블록-2) 수출에 참여한 동사와 한화디펜스도 최종 계약을 마쳤으며, 조만간 정부간에 수출체결 공식행사를 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천궁-II UAE 수출 계약 규모는 4조원에 달하며, 이중 다기능레이더를 생산하는 동사의 수출규모는 약 1조2,000억원으로 단일 레이더 수출액으로는 최대 규모라고 전해짐.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 6,022억원(+3.1% YoY; 이하 YoY), 영업이익 812억원(+67.9%, OPM +5.2%p), 순이익 205억원(+421.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OEM의 강한 성장이 Scott 역기저 부담을 상쇄, 4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Scott 역기저 부담으로 연결 실적 성장률은 경쟁사 대비 낮으나(2022E 영업이익:영원 +7.4%, 한세 +40.4%, 화승 +597.7%), 본업 OEM의 투자성은 그 어느 때보다 좋다고 언급. 이어 전방 재고 비축 수요(미국 의류 재고율 역대 최저 vs. 판매 회전율 역대 최고)와 주력 복종 인기(스포츠 및 아웃도어 호조, 2022E 매출 비중: 스포츠 50%, 아웃도어 50%), 환율 강세(2022E 원/달러 평균 환율 +2.7%)까지 모든 것이 완벽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5,000원 -> 70,000원[상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총이익 3,538억원(전년동기대비 +15.7%), 영업이익 651억원(전년동기대비 +6.5%)을 기록해 특별 격려금 형식의 일회성 비용 감안시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는 북미(전년동기대비 +51.9%)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지속되며 외형을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올해는 북미와 유럽 중심의 외형 성장이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북미는 주요 광고주 사업부 통합에 따른 마케팅 예산 증가와 대행 영역 확대로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어 계열과 비계열의 동반 성장이 기대되며, 유럽은 디지털 중심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디지털 중심의 핵심인력 증가 외에 모든 비용을 효율화하면서 구조적인 체질 개선을 보여주고 있으며, 올해 예상 PER이 13.2배에 불과해 밸류에이션 매력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3,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1 연결 기준 영업수익은 6.5조원(+5.4% YoY), 영업이익은 3,745억원(+131.6%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수익 6.4조원, 영업이익 2,170억원)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유무선 통신사업의 실적 호조에 더불어 지난 10월 노량진지사 사옥 및 용산빌딩 매각에 따른 일회성이익이 약 2,000억원 반영된 것에 기인한다고 분석. ▷아울러 22년부터는 Digico 기업 전환을 통한 사업 가치 재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동사의 22년 예상 DPS 기준 배당수익률은 6.8%로 저평가 상태에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6,697억원(전년동기대비 +19.3%), 1,564억원(전년동기대비 -0.2%)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리니지W가 예상대로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가고 있으나, 리니지M과 리니지2M의 일매출액이 전분기대비 크게 감소해 리니지W 흥행 성과가 상쇄되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70,000원 -> 920,000원[하향] ▷한편, 언론에 따르면 2,215억원을 횡령한 오스템임플란트 직원이 지난해 11월 동사 주식 3,000억원 가량을 매수했던 인물과 동일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음.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불공정 조사 관련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는 사안이라고 답변했음.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전일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 상장 후 수급 노이즈가 예상된다고 밝힘. 높은 성장률을 보이던 신규사업이 별도 상장되는 만큼 동사에서 LG에너지솔루션으로 수급 이동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상장 후 액티브뿐 아니라 패시브 자금에서도 수급 이동이 예상되기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 ▷한편,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9,338억원(전분기대비 +28.5%, 전년동기대비 +687%)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주요 제품 스프레드 하락에 따른 기초소재 실적 부진과 반도체칩 부족 지속으로 LG에너지솔루션 중대형전지 출하량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00,000원 -> 880,000원[하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아파트 붕괴 여파 지속 및 HDC현대산업개발 광주시 내 모든 현장 공사중지 명령 등에 하락
▷HDC현대산업개발은 전일 장 마감 후 광주시 현장에 대한 공사중지 공시. 광주 화정아이파크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로 인하여 광주시는 동사가 광주시에서 진행하는 모든 건축, 건설 현장의 공사 중지 명령을 내리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와 주요 시공현장에 대한 특별감독을 지시했고, 경찰도 이번 공사를 진행한 하청업체 3곳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HDC현대산업개발, HDC, HDC현대EP, HDC랩스 등 HDC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종목] : HDC, HDC랩스, HDC현대EP, HDC현대산업개발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KT(030200)(+1.89%)]
4분기 호실적 기대감 및 배당 매력 분석 등에 소폭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조4,910억원(전년동기대비 +4.6%), 영업이익 2,095억원(전년동기대비 +2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4분기 무선서비스 매출은 통신 장애 보상 관련 매출 감면에도 불구하고 아이폰13 출시, 디즈니+ 결합 요금제 등 효과로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콘텐츠 자회사인 스튜디오지니를 통해 미디어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Seezn과 올레tv를 통해 독점 공개하는 오리지널 콘텐츠는 크라임퍼즐, 미드나잇스릴러를 포함해 올해 6편, 22년 15편, 23년 20편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힘. ▷21E P/E 7.9배, P/B 0.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은 물론 실적 상승에 비례한 배당의 지속 확대가 투자 포인트라며, 별도 순이익의 50%인 배당정책을 고려한 예상 DPS는 1,650원이며 현재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은 5.2%로 통신 3사 중 가장 높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2,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4분기 영업이익은 2,000억원 수준으로 전분기대비 2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리니지W 관련 대규모 마케팅과 개발자 성과급 지급, 야구단 비용 등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4분기 매출의 경우 리니지W로부터 약 3,500억원의 매출이 추가되며 전체 매출액이 사상 최초로 8,000억원을 상회할 전망이나, 기존 리니지M과 2M 매출은 리니지W와 자기잠식 효과로 전분기대비 감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다만, 내년 상반기 리니지W의 제 2권역(북미/유럽 등) 출시가 예정되어 있고 여기에 동사가 언급한 NFT 적용 가능성이 높으며, 추가적인 신작 출시로 이익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00원 -> 900,000원[하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지난 9월17일 코스피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 주식 4,030,707주(3개월, 의무보유확약 비중 40.7%, 총 발행 주식수 대비 약 4.54%)가 금일 의무보유확약 해제됐음. ▷한편, 전일 대법원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동사 노동자 10명이 전체 노동자들을 대표해 회사를 상대로 낸 통상임금 소송 상고심에서 사측의 손을 들어준 원심을 깨고 사건을 부산고법으로 돌려보냈음. 이와 관련,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동사는 올 3분기까지 누적 3,200억원 적자를 기록하는 등 기업경영이 매우 어려운 상황" 이라며, "이번 판결에서 신의칙을 적용하지 않아 통상임금 관련 소모적인 논쟁과 소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MBC '놀면 뭐하니?'와 방송 제작지원 계약 체결을 통한 '도토리 페스티벌' 음원 유통권 확보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MBC 예능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와 방송 제작지원 계약을 체결하고, 음원 투자 확대를 통한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강화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2000년대 싸이월드 미니홈피 속 추억 노래를 소환하는 '도토리 페스티벌'편의 공식 음원 유통권을 확보했다고 언급. ▷신상규 동사 음악사업본부장은 “‘놀면 뭐하니?’의 도토리 페스티벌에서 선보이는 그 시절 아련하고 감성 가득한 음악들을 더 많은 분들이 즐기실 수 있도록 음원과 미공개 영상까지 플로에서 공개한다”라며 “다양한 음원 유통권을 확보하는 등 음원 투자 확대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를 강화하고, 오디오플랫폼 플로와의 시너지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싸이월드 운영사 싸이월드제트는 '미니홈피', '미니룸'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앱 출시에 앞서 메타버스 공간인 '싸이월드 한컴타운' 베타 서비스를 이날 오후 3시42분에 출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김태훈 싸이월드 한컴타운 대표는 "오늘 싸이월드 한컴타운의 베타 버전부터 단계별로 오픈하는 것은 회원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함이다"라며, "싸이월드 한컴타운이 차주 싸이월드와 연결되면 2040을 위한 국내 최초의 메타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싸이월드 BGM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 NHN벅스, 싸이월드제트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메타버스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글과컴퓨터가 시장에서 부각.[종목] : 한글과컴퓨터, NHN벅스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삼성전자가 로봇사업을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동사는 삼성전자에 ODM으로 제품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해서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는 물걸레 로봇 청소기 제조 업체로 지난 2019년3월 엣지모델을 출시하였으며, 2020년1월에는 삼성전자 ODM향으로 공급되어 전량 수출로 판매되고 있다고 언급. 또한, 동 모델은 아마존에 입점되어있어 꾸준히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임. ▷아울러 동사는 상장된 로봇 기업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나는 기업으로 내년 매출액은 612억원(+17.1% y-y), 영업이익은 143억원(+25.9% y-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NHN(181710)(+4.50%)]
129.1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및 "드래곤퀘스트 캐시캐시" 日 양대 마켓 1위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50,000주(129.15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1-12-08~2022-03-07) 공시. ▷아울러 전일 언론에 따르면, 자회사 NHN플레이아트가 개발한 '드래곤퀘스트 캐시캐시'가 일본 현지 구글과 애플 양대 마켓에서 인기 1위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드래곤퀘스트캐시캐시는 역할수행게임(RPG) 요소와 쓰리매치 퍼즐이 결합된 게임"이라며, "요괴워치뿌니뿌니를 통해 일본 시장에서 쌓은 노하우를 기반으로, 해당 게임을 일본 차세대 캐주얼 게임으로 자리매김 시키기 위해 현지 마케팅 등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국제 표준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인증을 통해 cGMP뿐만 아니라 국제 표준 기준(ISO)까지 부합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입증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CDMO 기업으로서 전 세계 고객사와의 파트너십을 더욱 확대, 강화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한편, 이번 인증을 위해 올해 초 전담 태스크포스팀(TF)를 꾸리고 심사 대비에 착수했으며, 그 결과 6개월 만에 1~3공장 전 공장을 비롯해 위탁생산(CMO), 위탁개발(CDO) 등 전 사업부문에서 무결점 통과 기록을 세운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존림 동사 사장은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선도기업으로서 이번 ISO 인증 획득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내부관리 프로세스를 보여줄 수 있게 됐다”며, “고객사,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만족을 위해 품질경영능력을 포함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글로벌 5개국서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IND 승인 소식 및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유럽의약품청(EMA) 승인 임박 소식 등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전일 동사와 글로벌 3상을 협력 중인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지난달로 5개국에서 동사의 코로나19 백신 'GBP510'의 임상 3상 승인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3상이 순항 중이다"며, "글로벌 임상 승인에 따라 3상에 순차적으로 돌입한다"고 밝힘.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유럽의약품청(EMA) 임원인 에머 쿡 노바백스 전무이사가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공개 회의에서 유럽연합(EU) 보건 장관들에게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이 가까운 장래(very near future)에 승인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 ‘NVX-CoV2373’의 국내 생산 및 상업화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음.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리니지W의 역대급 흥행으로 4분기부터 본격적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리니지2M과 리니지W의 해외진출 기대감과 강력한 IP 및 게임 내 경제시스템 운영 경험을 통한 NFT, P2E 트렌드 속 동사의 활약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전일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 7,908억원, 영업이익 2,613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리니지W는 출시 초기 일주일 간 일평균 매출액 120억원을 기록한 후 최근에도 동접자 수와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 박승국 대표는 전일 '2021 대한민국 바이오투자 콘퍼런스(KBIC 2021)'에서 내년에는 중국에서 안구건조증 치료제 임상 3상을 마치고, 빠르면 2022년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힘.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HL036(성분명 탄파너셉트)’은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후보물질(파이프라인)로 안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을 억제해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작용 기전임. ▷한편, 동사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항체신약 ‘HL161’, 안구건조증 포도막염 등 염증성 안구질환에 대한 바이오신약 ‘HL036’, 신규 작용 표적의 항암 면역항체신약 ‘HL186·HL187’ 등을 개발하고 있음.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글로벌 파트너사 이뮤노반트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 Batoclimab)'의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 계약을 통해 HL161의 상용화는 한층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며, 양사는 HL161의 신속한 상용화를 목표로 전문 기술 및 노하우를 적극 공유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을 공략해 나간다는 방침임.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에 필수적인 의료용 산소 생산업체의 폐업이 가속화되고 있는 등 의료용 산소 대란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낮은 보험수가로 만성적인 재정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료용고압가스협회에 따르면 2015년말 기준 전국 144개에 달하던 의료용 산소 제조업체 중 49개 업체가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영업허가를 반납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지난 1월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의료기기 생산시설에 대한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획득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동사의 의료기기 GMP 적합 인정 항목은 생명유지 장치 품목군으로 산소발생기와 산소호흡기 등인 것으로 알려짐.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은 149억원(+147% QoQ), 영업이익은 45억원(흑자전환 QoQ)으로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올해 인텔의 Sapphire Rapids 출시 지연에 따른 5세대 SSD 테스터로의 전환 지연과 4세대 SSD 테스터 투자 공백까지 겹치며 3분기까지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Sapphire Rapids의 2022년 상반기 출시가 확실시되며 4세대 중심의 SSD 테스터 투자가 재개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5세대 SSD 테스터 개화, Burn-in 거래선 확대, 서버 DIMM 자동화테스터가 기대되는 가운데, 내년 영업이익이 137억원 (+1,197% YoY)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동사는 언론을 통해 원격의료 플랫폼 '닥터나우'와 메타버스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현재 컴투스가 준비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 '컴투버스' 내에 닥터나우의 비대면 원격의료 서비스를 도입하며, 동시에 서비스와 관련한 기술 및 콘텐츠 개발도 적극 협업하기로 했다고 밝힘.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효성화학(298000)(+8.92%)]
폴리케톤 사업 흑자 전환 기대감 등에 강세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7년 60억원 수준에 불과했던 폴리케톤 매출액이 내년 83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경쟁 엔프라 가격 상승으로 판가가 동시에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수요 등이 증가하고 있고 시장 규모가 큰 자동차향 침투율 확대로 플랜트 가동률이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이에 동사의 폴리케톤 사업은 올해 EBITDA 흑자에 이어, 내년에는 영업이익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60,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언론에 따르면,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미국 빌보드가 발표한 ‘올해의 글로벌 차트’ 결산에서 9관왕에 올라선 것으로 전해짐. 2일(현지시간) 빌보드 트위터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은 ‘최고의 듀오/그룹’, ‘최고의 핫 100 듀오/그룹’, ‘최고의 빌보드 200 듀오/그룹’, ‘최고의 빌보드 글로벌 아티스트(미국 제외)’, ‘최고의 빌보드 글로벌 송(미국 제외)’(‘다이너마이트’), ‘최고의 디지털 송 세일즈 아티스트’, ‘최고의 디지털 송 세일즈 송’(‘버터’), ‘최고의 월드 앨범 아티스트’, ‘최고의 월드 앨범’(<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음. ▷이와 관련 빌보드는 9관왕을 차지한 방탄소년단에 대해 "비티에스가 세계적으로 지배했다"고 평가했음.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장기적으로 신규사업부 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노브랜드의 경우 이미 가맹점 사업이 시장에 안착하였고, 내년 신규점 출점 및 기존점 운영을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서울/경기권 이외 지방권 출점을 계획하고있는 만큼 성장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또한, 대체육 사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며, 동사가 스타벅스코리아에 배러미트(대체육햄)를 공급하고 있다고 언급. 이는 연간 10~12억원 수준으로 현재까지 미미하지만, 향후 B2C 상품을 개발 판매할 예정이고, 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통망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관련 매출액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IP사업의 경우 ‘제이릴라’라는 IP를 통해 신세계그룹의 대표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입히고 있는 과정으로 생각된다며, 그룹 측면에서 스포츠 + 호텔 + 테마파크 등 IP컨텐츠와 결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는 만큼 의미가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8,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카카오페이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1에는 폴란드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고정비 부담이 있겠지만, 2022년 연간으로는 물량 증가에 따른 고정비 절감효과와 생산성 향상으로 양호한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특히, 장기적으로 전기차 가격인하가 불가피하기에 동사의 판가도 하락할 수 있겠지만, 셀메이커의 증설로 2~3년 뒤 공급부족 가능성이 있고 동사는 외형성장에 따른 고정비 절감과 라인별 생산성 향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설명.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리니지W가 한국과 대만 등 리니지 IP의 영향력이 큰 핵심 시장에서는 매출순위 1위를 이어가고 있으며, 비교적 한국 MMORPG 불모지인 일본에서도 구글플레이 기준 매출순위 23위를 기록하고 있는 등 견조한 흥행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 이에 4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4Q21, 1Q22 영업이익이 각각 2,636억원(+68.2% YoY), 3,014억원(+431.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12월2일 리니지2M이 북미와 유럽 지역 29개국에 추가 출시되어 리니지2M의 실적 개선 또한 기대할 수 있으며, 컨퍼런스콜을 통해 밝힌 것처럼 내년에는 P2E가 적용된 신작의 출시와 이에 따른 밸류에이션의 확장 또한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주가는 리니지W의 흥행에 따른 이익 증가도 반영되지 않은 저평가 상태라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20,000원 -> 1,070,000원[상향]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11월 에폭시수지 가격이 톤당 $5,039로 전년동기대비 109.4% 증가하며 1990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역외 지역의 공급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원재료 가격 상승이 판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고 관련 수요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내년에도 공급 증가 제한 및 미국/유럽/중국 등의 인프라 투자 확대로 에폭시수지 가격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에 국내에서는 금호석유/국도화학/코오롱인더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종목] : 국도화학, 금호석유, 코오롱인더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일 Investor day를 열어 전기차와 자율주행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제시했다며, 동사는 신설 자회사를 통해 자율주행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힘. 이어 동사의 연결 매출 목표는 2021년 6조원, 2023년 7조원, 2025년 9조6,000억원이라며, 이중 전장부품 비중은 62%, 66%, 69%로 올라가고 친환경차 비중도 20%, 26%, 33%로 상승한다고 언급. ▷아울러 완전/무인 자율주행인 4, 5단계 도달이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어 2~3단계 자율주행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동사는 HL클레무브를 통해 운전보조장치(ADAS)를 고도화시켜 자율주행 2~3단계를 대응할 전망이고 이를 통해 고객사를 늘리고 수익성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 또한, 수주 잔고 내에서는 이미 제품과 고객사가 다변화했고 수주가 매출로 인식되면서 지난 10년간 박스권에 갇혀있던 수익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92,000원[유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속 3분기 실적 부진에도 NFT·블록체인 게임 출시 예정 소식 등에 상한가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21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06.30억원(전년동기대비 -14.44%), 영업이익 962.51억원(전년동기대비 -55.78%), 순이익 994.95억원(전년동기대비 -34.76%). ▷동사는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NFT, 블록체인과 게임의 결합이 우리에게 엄청난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다고 믿고 그렇게 준비하고 있다"며, "내부 태스크포스(TF) 만들어서 NFT, 블록체인 적용을 준비해왔고 현재 준비 중이다"라고 밝힘. 이어 "내년 중에 NFT와 블록체인이 결합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을 하고 있다"고 언급. ▷한편, 동사의 모바일 MMORPG '리니지2M'은 오는 12월2일 오후 2시(한국기준) 글로벌 29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
패치#노트코딩, 주식, 자동매매, 백테스팅, 데이터분석 등 관심 블로그
비전공자이지만 금융 및 관련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두고 열심히 공부중입니다.
우리 모두 경제적 자유를 위해 성공해봅시다!!
※ 혹시, 블로그 내용중 문제되는 내용있으시면 알려주시면 삭제/수정 토록하겠습니다.
※ 모든 내용들은 투자 권유가 아니오니 참고만 하시고, 또한 출처는 모두 표기토록 노력하겠으나 혹시 문제가 되는 글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