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삼성전자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빙해 미래 기술을 논의하는 삼성 6G 포럼을 개최했음.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은 5G 네트워크 상용화는 여전히 진행중이지만 6G 연구 개발은 이미 시작되었다며 바로 지금이 6G를 준비할 적절한 시기라고 밝힘.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이 5월20일부터 22일까지 방한해 21일 정상회담이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경제안보 분야에서 AI, 퀀텀, 5G•6G, 원자력 등에서의 공급망 협력을 한미동맹의 주요 축으로 격상하자는 내용이 정상회담의 합의 문서에 담길 것으로 전해짐.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통신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내 Private 5G(이음5G)가 본격 개화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삼성, SK, 현대차, 한전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은 이미 21년부터 Private 5G에 대한 사용 의지 및 관심을 표출했다고 밝힘. 아울러 네이버를 필두로 LG CNS, SK네트웍스서비스 등이 이음5G 사업자 등록을 완료했으며, 올해를 기점으로 국내 시장 개화 및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글로벌 Private 5G 시장 규모는 21년 17억달러에서 26년 83억달러로 CAGR+36%의 가파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
▷Private 5G는 쉽게 표현하면 전국망의 축소판으로, 기지국 RU, DU, L3 스위치 등 기존 망 구성 장비들은 특화망에서도 그대로 필요하다고 설명. 다만, 통신사와 Private 5G 전문 서비스 사업자들 중 하드웨어를 자체 제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 해당 사업자들은 하드웨어 장비는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며, 장비사는 신규 시장 및 고객사 확대 측면에서 Private 5G 시장이 기회의 영역이라고 밝힘.
▷한편, 지난 5월3일 삼성전자의 美 4위 이동통신사인 디시 네트워크(DISH Network)에 대규모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공급 모멘텀도 지속. 공급 규모는 1조원 이상이며, 삼성전자는 디시 네트워크의 미국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가상화 기지국(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vRAN), 다중 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radio) 등 다양한 통신장비를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CS, 에프알텍, 기산텔레콤, 와이어블, 이루온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통신장비] 국내 Private 5G(이음5G) 본격 개화 전망 및 삼성전자 美 5G 장비 공급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THQ, CS, 에프알텍, 와이어블)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통신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삼성전자는 전일 언론을 통해 미국의 4위 이동통신사인 디시 네트워크(DISH Network)에 대규모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를 공급한다고 밝힘. 공급 규모는 1조원 이상이며, 삼성전자는 디시 네트워크의 미국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가상화 기지국(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vRAN), 다중 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radio) 등 다양한 통신장비를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 벤더들의 디시 네트워크향 장비 공급 시점은 하반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당초 계획 시점). 이에 올 하반기는 지난해 하반기와는 다르게 삼성전자 벤더들의 실적 흐름이 견조할 가능성 높아진 상황(버라이즌 +α 확보 → Dish, 유럽, 인도 등)이라며, 삼성전자 내 M/S가 높은 벤더들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프알텍, 이루온, 기가레인, 기산텔레콤, 텔레필드, 다산네트웍스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통신장비] 삼성전자, 약 1조원 규모 5G 통신장비 수주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기산텔레콤, 에프알텍, 텔레필드, 다산네트웍스, 피피아이)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전일 언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 기간 중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3(3공장) 현장을 방문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이재용 부회장이 직접 바이든 대통령 안내를 맡고 이 자리에 윤석열 대통령도 참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음. 아울러 이 부회장은 한미 양국 대통령을 직접 마중하면서 평택캠퍼스에서 진행 중인 신규 투자 계획을 설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생산기지는 매우 중요해졌다"며 "바이든 대통령 방한 때 삼성 반도체 공장이 그 역할을 해달라는 주문이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음.
▷한편, 지난밤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일대비 15.27(+0.54%) 상승한 2,827.21에서 거래를 마감.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타이거일렉, 램테크놀러지, 주성엔지니어링, 텔레칩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장비] 바이든 美 대통령, 삼성전자 공장 방문 가능성 및 투자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주성엔지니어링, 제이티, 오션브릿지, 와이아이케이)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SFA반도체,고영,기가레인,네오셈,네온테크,넥스틴,디아이,라온테크,로보스타,로체시스템즈,리노공업,서진시스템,서플러스글로벌,성도이엔지,성우테크론,신성이엔지,싸이맥스,씨앤지하이테크,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엘오티베큠,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위드텍,유니셈,유니테스트,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자비스,제이티,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케이씨텍,코미코,코세스,테스,테크윙,티에스이,포인트엔지니어링,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한화에어로스페이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5. 10]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밤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속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한 가운데, 美 주요 기술주들이 약세를 기록.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29% 폭락했으며, S&P500지수는 4,000선이 붕괴되며 지난해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에 애플(-3.32%), 마이크로소프트(-3.69%), 아마존(-5.21%), 알파벳A(-2.80%), 메타(-3.71%) 등 대표적 기술주들이 대부분 약세를 기록.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2.96(-5.13%) 하락한 2,829.10을 기록. AMD(-9.42%), 엔비디아(-9.24%), ASML(-6.96%), TSMC(-4.73%), 퀄컴(-4.03%), 인텔(-2.78%) 등이 하락.
▷이 같은 소식 속 미래산업, 고영, 에스티아이, AP시스템, 삼성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 LG전자, 액션스퀘어, NHN, 액토즈소프트, 크래프톤 등 IT대표주/게임 등의 테마가 하락.
[반도체 장비] 경기 둔화 우려 확산 속 美 기술주 급락에 하락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WI,고영,기가레인,네온테크,디바이스이엔지,라온테크,러셀,로보스타,리노공업,미래산업,성도이엔지,성우테크론,신성이엔지,씨앤지하이테크,아스플로,에스티아이,에프에스티,오로스테크놀로지,원방테크,제너셈,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코세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날 삼성전자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빙해 미래 기술을 논의하는 삼성 6G 포럼을 개최했음.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은 5G 네트워크 상용화는 여전히 진행중이지만 6G 연구 개발은 이미 시작되었다며 바로 지금이 6G를 준비할 적절한 시기라고 밝힘.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이 5월20일부터 22일까지 방한해 21일 정상회담이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경제안보 분야에서 AI, 퀀텀, 5G•6G, 원자력 등에서의 공급망 협력을 한미동맹의 주요 축으로 격상하자는 내용이 정상회담의 합의 문서에 담길 것으로 전해짐.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내 Private 5G(이음5G)가 본격 개화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삼성, SK, 현대차, 한전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은 이미 21년부터 Private 5G에 대한 사용 의지 및 관심을 표출했다고 밝힘. 아울러 네이버를 필두로 LG CNS, SK네트웍스서비스 등이 이음5G 사업자 등록을 완료했으며, 올해를 기점으로 국내 시장 개화 및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글로벌 Private 5G 시장 규모는 21년 17억달러에서 26년 83억달러로 CAGR+36%의 가파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
▷Private 5G는 쉽게 표현하면 전국망의 축소판으로, 기지국 RU, DU, L3 스위치 등 기존 망 구성 장비들은 특화망에서도 그대로 필요하다고 설명. 다만, 통신사와 Private 5G 전문 서비스 사업자들 중 하드웨어를 자체 제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 해당 사업자들은 하드웨어 장비는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며, 장비사는 신규 시장 및 고객사 확대 측면에서 Private 5G 시장이 기회의 영역이라고 밝힘.
▷한편, 지난 5월3일 삼성전자의 美 4위 이동통신사인 디시 네트워크(DISH Network)에 대규모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공급 모멘텀도 지속. 공급 규모는 1조원 이상이며, 삼성전자는 디시 네트워크의 미국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가상화 기지국(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vRAN), 다중 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radio) 등 다양한 통신장비를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CS, 에프알텍, 기산텔레콤, 와이어블, 이루온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 국내 Private 5G(이음5G) 본격 개화 전망 및 삼성전자 美 5G 장비 공급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THQ, 에프알텍, 와이어블)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5G(5세대 이동통신)]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삼성전자는 전일 언론을 통해 미국의 4위 이동통신사인 디시 네트워크(DISH Network)에 대규모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를 공급한다고 밝힘. 공급 규모는 1조원 이상이며, 삼성전자는 디시 네트워크의 미국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가상화 기지국(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vRAN), 다중 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radio) 등 다양한 통신장비를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 벤더들의 디시 네트워크향 장비 공급 시점은 하반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당초 계획 시점). 이에 올 하반기는 지난해 하반기와는 다르게 삼성전자 벤더들의 실적 흐름이 견조할 가능성 높아진 상황(버라이즌 +α 확보 → Dish, 유럽, 인도 등)이라며, 삼성전자 내 M/S가 높은 벤더들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프알텍, 이루온, 기가레인, 기산텔레콤, 텔레필드, 다산네트웍스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 삼성전자, 약 1조원 규모 5G 통신장비 수주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에이스테크, 이루온, 웨이브일렉트로, 기산텔레콤, 텔레필드, 에프알텍)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5G(5세대 이동통신)]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금융투자는 전일 보고서를 통해 북미 통신사의 커버리지 확대 및 주파수 클렌징에 따른 상용화 가능 중대역 주파수가 내년 연말까지 확대됨에 따라 북미 프론트홀 시장은 이제 성장 구간의 초입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버라이즌과 AT&T는 올해 초 C밴드 5G 서비스를 상용화하였다며, 양사 모두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계획으로 버라이즌은 2022년 CAPEX 가이던스를 역대 최대 규모인 225억 달러 가량으로 제시했고 AT&T도 전년 대비 21% 성장 한 200억 달러를 집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고 설명.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버라이즌의 C밴드 가이던스로 버라이즌의 경우 C밴드 CAPEX를 따로 공시하는데 작년 21억 달러를 집행한 반면, 올해는 C밴드 가이던스를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인 50억에서 60억으로 제시하였다며, C밴드 기반 5G 커버리지 확대에 대한 의지가 엿보이는 부분이라고 분석.
▷아울러 지난해 국내 통신 3사의 CAPEX 확대에 소극적이었지만, 실적 부진 이슈 해소와 더불어 기지국 의무 구축 수량을 만족시켜야함에 따라 올해는 전년 대비 통신 3사의 CAPEX가 7% 높아질 것으로 전망. 특히, 신정부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선언하며 5G/6G를 기반으로 4차 산업 육성에 나설 것임을 강조한 상황에서 통신 3사가 무선 기지국 설치에 계속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에치에프알, 유비쿼스, 알에프텍, RF머트리얼즈 등 5G(5세대 이동통신) 및 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한편, 코리아에프티는 과거 상암 자율주행 페스티벌에서 5G 융합 자율주행차를 공개한 사실이 시장에서 부각.
▷지난밤 뉴욕증시가 기업 실적 경계감, 경기 둔화 우려 등에 급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3.27(-4.38%) 하락한 2,909.12를 기록. ASML(-6.57%), AMD(-6.10%), 엔비디아(-5.60%), TSMC(-3.61%), 인텔(-3.27%) 등이 하락.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에스에프에이, 고영, 테스, 마이크로프랜드, 디엔에프, 에이티세미콘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한편, SK하이닉스는 금일 개장 전 1분기 실적을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5조원(전년동기대비 +43.10%), 영업이익 2.85조원(전년동기대비 +115.91%), 순이익 1.98조원(전년동기대비 +99.76%). 전년동기대비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시장 컨센서스 대비 소폭 하회한 수치임. SK하이닉스는 컨콜에서 "올해 장비 수급의 어려움으로 장비조달이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1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급 4세대(1a) D램과 176단 낸드플래시 양산 확대 일정이 연초 계획보다 일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고영,기가레인,네온테크,넥스틴,디바이스이엔지,러셀,로보스타,로체시스템즈,리노공업,미래산업,서진시스템,성도이엔지,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엔투텍,예스티,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위드텍,유니셈,이오테크닉스,제이스텍,제이티,코디엠,코세스,탑엔지니어링,테스,티에스이,포인트엔지니어링,프로이천,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4. 25]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시사 발언 여파 지속 등에 급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8.91(-2.25%) 하락한 2,989.83를 기록. 파월 의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가 논의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금리인상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엔비디아(-3.31%), 퀄컴(-2.42%), TSMC(-2.03%), 인텔(-2.02%) 등이 하락.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DRAM 현물가가 2달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연준의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이로 인한 IT 내구재 소비 둔화 우려, 중국의 코로나 봉쇄와 이에 따른 부품 공급 차질 등 악재가 이어지며, 지난주에도 반도체 업종 주가는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인 ASML과 램리서치가 공급망 차질 등의 여파로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반도체 산업에 우려감을 확대했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테크윙, 동진쎄미켐, 티엘아이, 주성엔지니어링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WI,고영,기가레인,네오셈,네온테크,네패스아크,넥스틴,디바이스이엔지,디아이,라온테크,러셀,로보스타,로체시스템즈,리노공업,미래산업,서진시스템,성도이엔지,성우테크론,싸이맥스,아스플로,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엘오티베큠,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위드텍,유니셈,유니테스트,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제너셈,제이스텍,제이티,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케이씨텍,코디엠,코세스,탑엔지니어링,테스,테크윙,티씨케이,티에스이,포인트엔지니어링,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한화에어로스페이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4. 19]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6.96(+1.88%) 상승한 3,085.19를 기록. 엔비디아(+2.47%), 인텔(+2.12%), 마이크론테크놀로지(+1.45%), AMAT(+1.33%), AMD(+0.89%) 등이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매크로 이슈로 IT 및 반도체 수요 불확실성이 확대됐으나, 우려가 선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주가는 악재 노출 논리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는 강한 하방 경직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크로 이슈 해소 구간에서 주가가 탄력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분석. 또한, Cycle과 무관하게 구조적인 장기 성장세를 시현할 것이라며 한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에게도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원익IPS, 디엔에프, 해성디에스, 고영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장비] 美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상승 및 주가 탄력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주도주 : 미래산업, 티씨케이, 이오테크닉스, 유진테크, 고영, 원익IPS)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고영,기가레인,네오셈,네패스아크,넥스틴,디바이스이엔지,디아이,라온테크,러셀,로보스타,로체시스템즈,리노공업,미래산업,서진시스템,서플러스글로벌,성도이엔지,성우테크론,신성이엔지,싸이맥스,씨앤지하이테크,아스플로,에스티아이,에이팩트,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엘오티베큠,예스티,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위드텍,유니셈,유니테스트,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제너셈,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케이씨텍,코디엠,코미코,코세스,탑엔지니어링,테스,테크윙,티씨케이,포인트엔지니어링,프로이천,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웰스파고 실적 부진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하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1.10(-2.92%) 하락한 3,028.22를 기록.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 중 하나인 인텔(-2.85%)이 하락했으며, AMD(-2.85%), TSMC(-3.09%), 퀄컴(-2.56%) 등이 하락.
▷한편,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TSMC와 삼성Foundry 사이 기술과 CAPEX 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인텔의 진입으로 삼성Foundry 2위 지위 역시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밝힘. 또한, Mature 시장의 경우 삼성Foundry 투자는 부재한 가운데, 중화권 업체 증설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에 삼성Foundry 중장기 전략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원익IPS, 티씨케이, 지니틱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특히, 삼성전자는 67,000원선이 붕괴되며, 사흘만에 52주 신저가 재차 경신.
[반도체 장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향 등에 하락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GST,SFA반도체,기가레인,네오셈,라온테크,러셀,리노공업,서진시스템,신성이엔지,싸이맥스,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이팩트,에이피티씨,원익IPS,유니셈,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코세스,테스,티씨케이,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한미반도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4. 13]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언론에 따르면, 다음달 10일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가 ‘반도체 초강대국’이라는 대선공약에 맞춰 반도체 시설투자 세액공제율을 최대 25%까지 상향하고 반도체 설비투자비의 최대 40∼5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미국의 투자유치, 중국의 반도체 굴기, 유럽·일본·대만 등 주요 경쟁국에서 반도체를 경제안보로 접근하면서 제도·예산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응해 새 정부에서 경쟁국 수준으로 세액공제율이나 보조금 지원을 끌어 올릴 것”이라고 밝힘.
▷반도체 업계에서는 그동안 줄곧 경쟁국과 동등하게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해줄 것을 요구해왔으며,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반도체 시설투자 세액공제율을 대기업 20%, 중견기업 25%, 중소기업 30%로 대폭 확대해달라고 공식 건의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DB하이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테크윙, 하나마이크론,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장비] 尹정부, 반도체 세액공제율 최대 25%까지 상향 추진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에이팩트, 코미코, 싸이맥스, 테크윙)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WI,고영,넥스틴,디아이,러셀,로보스타,미래산업,서플러스글로벌,성도이엔지,성우테크론,신성이엔지,싸이맥스,에스티아이,에이팩트,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오로스테크놀로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유니셈,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제이티,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코디엠,코미코,코세스,테스,테크윙,티씨케이,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화에어로스페이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4. 12]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美 국채금리 급등, 中 경기 둔화/인플레이션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했음.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5.08(-2.09%) 하락한 3,055.09를 기록.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 중 하나인 인텔(-0.96%)이 하락했으며, AMD(-3.59%)도 하락 마감했음.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미래산업, 한미반도체, 테크윙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세를 기록. 특히, 삼성전자는 연일 52주 신고가를 이어가는 모습.
[반도체 장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영향에 일부 관련주 하락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WI,고영,기가레인,네오셈,네패스아크,디아이,로보스타,미래산업,서플러스글로벌,성우테크론,싸이맥스,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엔투텍,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위드텍,유니셈,유니테스트,유진테크,제너셈,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코디엠,코미코,코세스,테크윙,포인트엔지니어링,프로이천,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고위인사 매파적 발언 속 국채금리 급등, 러-우크라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13(-4.53%) 급락한 3,269.82를 기록. AMAT(-5.97%), 퀄컴(-5.43%), 엔비디아(-5.22%), AMD(-3.36%), 인텔(-2.17%) 등이 하락.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 지명자는 전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연속적인 금리 인상과 이르면 오는 5월에 빠른속도로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대차대조표가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축소될 것"이며, 인플레이션에 관련해서는 "필요하다면 연준이 더 강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 이에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대표적 기술주인 반도체 업종에 부담으로 작용. 특히,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2.56%대로 올라서며 2019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유진테크, 하나머티리얼즈,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세를 기록.
[반도체 장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하락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AP시스템,GST,SFA반도체,WI,고영,기가레인,네오셈,네온테크,네패스아크,넥스틴,디바이스이엔지,디아이,러셀,로체시스템즈,리노공업,서진시스템,서플러스글로벌,성우테크론,신성이엔지,싸이맥스,씨앤지하이테크,아스플로,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이피티씨,에프에스티,엑시콘,엔투텍,엘오티베큠,오로스테크놀로지,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유니셈,유니테스트,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자비스,제너셈,제이스텍,제이티,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케이씨텍,코디엠,코미코,코세스,탑엔지니어링,테스,테크윙,티씨케이,포인트엔지니어링,프로이천,프로텍,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한양이엔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4. 01]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유가 급락에도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큰 폭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약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9.62(-2.27%) 하락한 3,429.00을 기록. AMD(-8.29%), 인텔(-3.64%), ASML(-2.43%), TSMC(-2.31%) 등이 하락.
▷바클레이즈(Barclays)는 반도체 업체인 AMD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하고, 목표주가도 148달러에서 115달러로 하향. 이는 전일 종가(119.22달러)보다 3.5% 낮은 수준임. 이와 관련, 바클레이즈는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추세와 유행성 폐쇄로 인한 게임·PC 시장에 대한 위험을 보고 있다"며 "1인당·가구당 PC 수가 증가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해하지만 추세가 이러한 수준에서 시장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분석.
▷한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냉각수의 일종인 쿨런트 전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3M 벨기에 공장이 환경 규제로 무기한 가동 중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짐. 쿨런트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물질로 다른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1~3개월 후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 주요 반도체 기업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SK하이닉스, 마이크로컨텍솔, 유진테크, 에스에프에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반도체 장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향 속 하락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반도체 장비 관련주, SFA반도체,고영,기가레인,네오셈,넥스틴,디바이스이엔지,디아이,러셀,리노공업,에스에프에이,에스티아이,에프에스티,엑시콘,엘오티베큠,예스티,오션브릿지,와이아이케이,원방테크,원익IPS,유진테크,이오테크닉스,인텍플러스,주성엔지니어링,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케이씨텍,코미코,코세스,테스,프로이천,프로텍,피에스케이,피에스케이홀딩스,하나마이크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도체 장비 관련주 분석 [2022. 03. 30]
※ 프로그래밍/주식분석 공부용입니다. 투자 권유 등이 아니며 투자는 각자 본인 판단/책임하에 있음을 상기하시고 공부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저작권 등 논란이 될 경우 댓글주시면 삭제/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성투합시다!!!!!!!!
[반도체 장비]
[이전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밤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완화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8.41(+2.21%) 상승한 3,625.58을 기록. TSMC(+2.75%), 마이크론테크놀로지(+2.74%), ASML(+2.06%), 퀄컴(+1.65%), 엔비디아(+1.55%) 등이 상승. 특히, 마이크론은 장 마감 후 2분기 매출액이 77.86억달러(+1% q-q), 영업이익 27.50억달러(+1% q-q), 순이익 24.44억달러(-1% q-q)를 기록했다고 발표. 조정 EPS(주당순이익)은 2.14달러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고, 마이크론이 제시했던 가이던스 1.85~2.05달러 또한 웃돌았음.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전일 인수위 관계자가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메모리반도체는 언젠가 중국 등에 따라잡힐 수밖에 없다”며 “인수위 차원에서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한 컨틴전시플랜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인수위는 대표적 조세 지원책인 R&D와 시설 투자 세액공제 중 시설 투자 세액공제율을 대폭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다만, 인수위는 전일 반도체 시설 투자 세액공제 비율을 대기업 기준 현행 6%에서 2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중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해당 내용은 아직 논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확정되지 않은 사안이라고 밝힘.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날 SK하이닉스가 키파운드리를 인수하는 건에 대해 반도체 성숙제품 파운드리시장에서 경쟁제한 우려가 없다고 판단해 승인했다고 밝힘.
▷한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날 오후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가질 예정이며, 반도체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기가레인, 서플러스글로벌, 코미코, 미래산업, 오킨스전자, 코아시아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장비] 美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상승 및 마이크론 호실적 등에 상승(주도주 : WI, 기가레인, 넥스틴, 서플러스글로벌) [내용출처: 인포스탁 infostock]
댓글을 달아 주세요